6/17/2012

6-월16일~8월7일 전시 참여

부바르와 페퀴셰-미술학습의 시도 展
Bouvard et Pecuchet-Attempts in Art Education

2012년 6월 15일-8월 7일 


























 '부바르와 페퀴셰'는 구스타브 플로베르의 미완성 소설의 대표작인 동시에 등장인물의 이름이다. 허무주의에 기반을 둔 '부바르와 페퀴셰'의 줄거리는 단순하다. 필경사라는 같은 직업을 가진 그들은 우연히 만나 상속받은 유산으로 시골에 내려가 살게 된다. 원예, 농업, 식품가공, 수목재배, 화확, 해부학, 천문학, 지질학, 고고학, 역사, 문화, 미학, 정치, 신비술, 종교, 철학, 교육, 최면술, 의학 등 불변의 진리를 찾기 위해 학문 연구를 시도하지만 모두 실패한다. 문학적 구성장치인 인물, 사건, 배경은 갈등 없는 플롯으로 이어져 결국 두 주인공은 연구를 접고 본래의 직업으로 회귀한다는 내용이다. 허무하게 이어지는 결말, 희망에 대한 간절함과 인내는 사무엘 베켓의 '고도를 기다리며'와 다르지 않지만 '부바르와 페퀴셰'가 베켓의 희곡과 구별 지어지는 특징은 '시도'로서 자기실현적 행위가 존재 한다는 것, 거듭된 실패에도 불구하고 '자아성찰'이 가능한 능동적인 인간으로 재탄생한다는 두 가지 이유에서 비롯된다.

"학습으로서의 예술"을 주제로 2012년 작가를 공모하였다. 이에 20여명의 작가가 선정되었고 본 전시는 다양한 장르와 소재를 다루는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학습하는 방법론으로 '부바르와 페퀴셰'의 인간 지식을 망라하는 백과사전식 학문연구 형식을 채택하였다. 인간의 지성과 의식에의 확장에 초점을 맞춘 '부바르와 페퀴셰' 의 시도는 본 공모에 선정된 20명 작가들의 작품이 반영하는 범주와 유사하다.
각 학문 분야에 동등하게 상반되는 야누스적 생각들은 혼란을 일으키는 동시에 자아성찰을 내포한 '선택의 시도'로서 도전이 된다.

남송미술관은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미술관에서 자체 기획안 교육프로그램 및 단서들을 전시장 곳곳에 전시한다. 이 단서들은 놀이의 형태를 취하여 관람자들이 전시장에서 만져보고 능동적으로 학습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시각적 관점에서 작품의 이해가 가능하도록 돕는다. 새롭게 제시된 '미술 학습'의 개념은 본 전시 관람자들에게 백과사전식 체험으로서의 관람을 제공할 것이다.

김영미<입술의 기능>2011
김영미는 시간을 기록한다. 짧은 시간 속에서 표현되는 '액션'과 긴 시간동안 바느질로 탄생한 '영혼의 표현'이 만나 미래 지속적인 영원성을 가진다. 순간성과 지속성을 동시에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행위의 결과물로 나타난 '색채를 가진 천'은 작가의 손을 거쳐 의도적으로 파편화되고, '바느질 작업' 이라는 인고의 시간을 통해서 현재와 영원의 과정이 녹아있다. 작가는 작품들을 통해 작가 본연의 자아를 찾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취한다. 


  

댓글 없음: